spring3 Maven? Gradle? 빌드도구에 대해 알아보자 빌드도구란? 우리가 웹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다보면, Spring Framework에 대해 공부하게 되고, Dependency들을 추가한다면서 갑자기 Maven이나 Gradle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해선 크게 강조하며 설명해주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 한 번 정리해보려 합니다. 빌드도구(Gradle, Maven 등)를 활용하는 이유 빌드도구를 활용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장점들이 있습니다. 의존성 관리 프로젝트에서 필요한 외부 라이브러리나 모듈의 의존성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라이브러리의 버전 관리, 충돌 해결, 중복 제거 등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빌드 자동화 빌드 도구는 프로젝트의 빌드, 테스트, 배포 등의 작업을 자동화하여 개발자가 반복적이고 지루한 작업을.. 2023. 5. 15. 우리가 Spring Framework을 사용하는 이유 Spring Framework을 사용하는 이유? Spring 프레임워크는 자바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경량화된 솔루션으로 많은 개발자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Srping 프레임워크는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들을 소개해 보겠습니다. 1. 제어의 역전 (Inversion of Control, IoC) 제어의 역전 (Inversion of Control, IoC)은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이 개발자가 아닌 프레임워크나 컨테이너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존의 절차 지향적인 방식에서는 개발자가 프로그램의 흐름을 직접 제어하고 객체들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반면, IoC에서는 개발자가 객체의 생성과 생명주기 관리를 프레임워크에 위임합니다. 객체의 생성과 관리를 위한 책임을.. 2023. 5. 15.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DI)이란?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DI) 이란? 의존성 주입은 객체 간의 의존 관계를 관리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일반적으로 객체는 다른 객체와 협력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객체는 다른 객체에 의존하게 됩니다. 의존성 주입은 이러한 의존 관계를 개발자가 직접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워크 또는 컨테이너가 주입하는 방식으로 처리합니다. 주입되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생성자 주입(Constructor Injection) 생성자 주입은 의존성을 객체 생성 시에 생성자를 통해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생성자에 필요한 의존 객체를 매개변수로 전달받아 해당 객체를 초기화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은 UserService 클래스가 UserRepository에 의존하며.. 2023. 5.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