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드도구란?
우리가 웹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다보면, Spring Framework에 대해 공부하게 되고, Dependency들을 추가한다면서 갑자기 Maven이나 Gradle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해선 크게 강조하며 설명해주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 한 번 정리해보려 합니다.
빌드도구(Gradle, Maven 등)를 활용하는 이유
빌드도구를 활용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장점들이 있습니다.
- 의존성 관리
프로젝트에서 필요한 외부 라이브러리나 모듈의 의존성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라이브러리의 버전 관리, 충돌 해결, 중복 제거 등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 빌드 자동화
빌드 도구는 프로젝트의 빌드, 테스트, 배포 등의 작업을 자동화하여 개발자가 반복적이고 지루한 작업을 수동으로 수행하지 않아도 되게 합니다. 이는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일관된 빌드 과정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줍니다. - 프로젝트 구조 관리
빌드도구는 프로젝트 구조를 관리하고, 코드, 리소스, 테스트 등을 적절하게 구조화하여 관리합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의 모듈화, 패키지 구조, 테스트 설정 등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플러그인과 확장 기능
다양한 플러그인과 확장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정적 코드 분석, 테스트 커버리지 측정, 배포 자동화, 문서 생성 등 다양한 작업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듯 빌드도구도 framework과 마찬가지로 프로젝트를 빌드하기 위한 일종의 템플릿을 제공해주고 있는 것이고, 빌드도구 가이드라인에 맞춰 우리가 원하는 라이브러리, 플러그인 등을 우리의 프로젝트에 추가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럼 만약 빌드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프로젝트를 생성하게 된다면 어떤 어려움들이 있을까요?
- 수동 의존성 관리
프로젝트에서 필요한 외부 라이브러리나 모듈의 다운로드, 설치, 관리를 수동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라이브러리의 소스 코드를 직접 다운로드하거나, JAR 파일을 수동으로 가져와서 프로젝트에 포함해야 합니다. - 수동 빌드 및 컴파일
코드의 컴파일, 패키징, 빌드 등의 작업을 수동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컴파일러를 직접 실행하고, 코드의 의존성을 수동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수동으로 빌드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실행하여 프로젝트를 빌드해야 합니다. - 수동 테스트
테스트 코드를 수동으로 작성하고, 테스트를 수동으로 실행해야 합니다. 테스트 환경을 설정하고, 테스트 데이터를 수동으로 준비하고, 테스트 결과를 수동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 수동 배포
서비스를 배포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들을 수동으로 수행해야 합니다. 이는 서버 환경의 구성, 파일 및 설정 파일의 복사, 실행 스크립트의 실행 등을 포함합니다.
빌드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프로젝트를 서비스 하려면 많은 작업들을 수동으로 처리해야 하며, 빌드, 테스트, 배포 등의 작업에 일관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의존성 충돌이나 버전 관리 등에 대한 복잡성을 직접 처리해야 합니다.
그럼 Maven과 Gradle 중 어떤 것을 선택해야하나요?
Maven과 Gradle은 모두 자바 기반 프로젝트의 의존성 관리와 빌드 자동화를 위한 빌드 도구입니다. 그러나 각각 다른 특징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니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Maven
- XML 기반의 프로젝트 관리 도구로, Apache Software Foundation에서 개발되었습니다.
- 간단한 설정과 관례에 따라 동작하며, 빌드 수명주기를 정의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
- 중앙 저장소(central repository)에서 의존성을 관리하고, 프로젝트의 빌드, 테스트, 배포를 위한 일관된 방식을 제공합니다.
- 커뮤니티가 크고, 다양한 플러그인과 확장 기능을 제공합니다.
- 간단한 프로젝트에 적합하며, 기본 규칙에 따르는 프로젝트에서 잘 작동합니다.
- XML 구문이 복잡할 수 있으며, 커스터마이징이 어렵고 유연성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Gradle
- Groovy나 Kotlin 기반의 도메인 특화 언어(DSL)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빌드 도구입니다.
- Maven에 비해 유연하고 강력한 스크립트 기반 설정을 제공하며, 프로젝트의 빌드 프로세스를 선언적으로 정의합니다.
- 멀티 프로젝트 구조를 지원하고, 빌드 스크립트의 재사용성이 높습니다.
- 그레이들 래퍼(Gradle Wrapper)를 통해 프로젝트와 함께 빌드 도구 자체를 버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빌드 스크립트가 복잡할 수 있으며, 학습 곡선이 높을 수 있습니다.
- 대규모, 복잡한 프로젝트에 적합하며, 커스터마이징과 확장성이 뛰어납니다.
대충 어떤 차이가 있는지 느껴지시나요?
다시 정리해보면,
Maven은 다양한 플러그인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초기 설정이 간단하기 때문에 처음 공부하는 학생들이나, 개발이 익숙치 않은 주니어레벨에서 활용하기 좋아 보입니다.
반면, Gradle은 커스터마이징과 확장성에 강점이 있어 직접 프로젝트를 큰 맥락에서 설계할 수 있는 정도의 레벨이 되는 개발자들이 활용하기 좋아 보입니다.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jQuery] 카드번호 마스킹하기 (0) | 2023.06.09 |
---|---|
렌더링 방식에 대한 짧은 정리 (0) | 2023.05.31 |